강원도 춘천시 서면 안보리에 있는 묘역은 현종의 장인(國舅)인 김우명과 부인 송 씨의 합장묘이다. 묘역 입구에 신도비가 있고, 숙종의 어필로 쓰인 묘비를 비롯한 상석, 망주석, 문인석, 장명등 등이 있다. 1976년 6월 17일에 강원도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되었으며 청풍 김 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부원군(府院君)은 왕의 장인인 국구(國舅)나 정일품 공신에게 주던 작위이다.
김우명(金佑明, 1619~1675)의 본관은 청풍(淸風)이고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대동법(大同法) 시행을 주도한 잠곡(潛谷) 김육(金堉)의 아들이자 현종(顯宗)의 장인으로서 청풍부원군에 봉해졌다. 조선 후기 문신으로, 영돈녕부사를 지냈고 정치적으로는 송시열과 함께 서인(西人)이었으나 정치적 사안에 대한 주장이 다를 때는 남인(南人)에 동조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외서내남'(外西內南)이라는 비판과 조롱이 있었다고 전해지며, 결국 남인에 동조하여 송시열과 사이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말년에는 조정(朝廷)에서 밀려 두문불출하다 졸(卒)하였다.
신도비는 이수(螭首)(용의 형상을 조각하여 수호의 의미를 갖도록 한 비신의 머릿돌이고, 이수에 걸맞게 비신의 받침대에는 귀부(龜趺)가 마련되나 이곳은 귀부가 없다)로 장식하였다. 묘소 둘레에는 묘장(墓墻)(묘 주위에 둘러싼 작은 담)이 있으며, 무덤 근처에는 신도비(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있다.
화악산을 출발한 맥이 가덕산과 북배산을 거쳐 계관산을 주산(소조산)(주산에 대한 여러 설이 있으나, 그 일대를 관장하는 반듯한 산을 말함이다)으로 하였다.
김우명의 묘가 있는 일대는 상급 명당을 품는 지형이다. 좌청룡이 뻗어 (본신)안산이 되고 좌선으로 유정하게 혈처를 감싼다. 또한, 좌수도우하는 수세를 백호가 우선하는 음양배합으로, 용호가 혈처를 관쇄하니 내당수의 흘러나감이 불견(不見)으로 명당의 조건을 갖추었다. 강 건너 조안 또한 공손하고 유정하게 영접하는 듯하다.
자고(自古)로 왕릉이나 유명인의 묘역은 본래의 지형에서 인작으로 심하게 변형된 경우가 많은데, 안타깝게도 명당을 위장한 듯한 흉지이다.
폭 3m 정도의 수맥파와 또 다른 해로운 기가 봉분을 사선으로 관통하고 있어 광중 전체가 이 영향권 내에 있다. 아마도 묘장 뒤의 지형을 선익으로 오인하여 묘역 조성한 듯 하다.
기록에는 『임금의 장인인 청풍부원군 김우명이 운명했을 때 지관들이 전국의 명당을 찾아 나서 처음 묏자리를 정했던 곳이 실레마을이었다. 조정에서 내려준 장지(葬地)로 장사지내기 위하여 뱃길로 운구(運柩)하던 중, 현재의 묘소 앞에 이르러 배가 움직이지 않았으며 명정(銘旌)이 돌풍에 휘날려 산으로 날아갔다 한다. 명정을 찾으려고 산으로 가보니, 명정이 돌풍에 날아가 떨어진 자리가 권세와 부귀가 백대를 누릴 수 있는 곳이어서, 실레마을 좌봉 묏자리 정지작업을 중단한 후 하사지를 반납하고 이곳에 매장하였다는 사연이다.』라고 하였다. 기록에서 실레마을은 지금의 김유정역과 신동면사무소 일대로 명당을 품고 있는 좋은 지형이다.
왕조실록에는 그를 성품이 어리석고 지나치게 거만하였다고 비판하였다(숙종 004 01/06/18(을해) / 청풍 부원군 김우명의 졸기). 그의 생전 기록으로 보아 처세가 원만치 못하고 부덕하여 명당 신후지를 얻지 못하고, 명정이 날아간 곳을 확신하게 되었는지 모를 일이다.
진혈을 찾는 몇 가지 주안점(主眼點)이다.
주변 사(砂)에 대한 혈처의 고저,
수세(樹勢)를 감안한 사(砂)의 바른 판단
과협,
혈처의 경사 (평평한) 정도,
용맥의 폭(광협),
기룡혈 해당 유무,
주변 유정한 사(砂)로의 근접성,
수맥과 혈기의 관계,
모두들 김우명의 묘를 명정이 날아가 잡은 명당이라고 평하지만, 기실은 굴러온 복(조정에서 내린 명당)을 발로 차버리고 지척에 있는 진혈도 비워둔 채로 실혈하는 우를 범하였다. 사후에는 의사불통(意思不通)이다.
수백 년 동안의 세월을 돌이켜보아 상실감과 허탈감이 교차하는 하산이다.
'풍수이야기(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의 선비 산군(山群) (0) | 2020.01.31 |
---|---|
청동기 시대의 풍수지리 2 (0) | 2019.09.25 |
청동기 시대의 풍수지리 1 (0) | 2019.08.01 |
족보 유감 (0) | 2019.06.15 |
안마산과 아내산 (0) | 2019.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