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법 2

산천을 보는 시각론 (3)

2. 형기론 가. 형기론의 원리 전편에서는 땅을 보고 자리를 찾는 방법의 하나인 물형론과 그 한계 및 문제점을 정리해 보았다. 또 하나의 방법인 형기론(形氣論)은 산천의 형세를 보고 판단한다는 점에서 물형론과 유사하나, 산천의 좋고 나쁜 풍수적 형세를 미리 정해 놓은 이론으로, 그 정형화된 범위를 벗어나는 땅은 고려하지 않는 배타적 특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땅을 보는 범위에 따라 명당의 범위도 좁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물형론에서 땅을 해석하는 방법은 ‘느낌과 기감응에 의한 인식체계(認識體系)’이기 때문에 모호한 면이 많은 한편, 형기론에서는 좋다. 아니면 나쁘다는 ‘이분법적인 사고로 축적된 경험논리체계(經驗論理體系)’에 기초한다. 형기론에는 산(맥)의 형세를 보는 간룡법((着龍法), 명당 주변의 지세..

마음이 흐르는 강(Moon River)

풍수에서의 물은 재물과도 같으며 만물을 생하게 하는 기를 실어 나른다 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땅의 길흉을 좌우한다. 풍수의 '수(水)'자만 보아도 수법(水法)이 대단히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고여 있거나 완만하게 흐르는 물, 땅을 휘감아 흐르는 요대수(腰帶水), 자리로 흘러오는 창판수(倉板水), 구불구불 흐르는 구곡수(九曲水), 합류하는 물, 냄새 없는 맑은 물이 땅과 어우러져 좋은 자리를 만든다. 국토를 가로지르며 흐르는 강은 국운과 민심의 길흉을 판단하는 대상이다. 물길 따라 국부(國富)와 민심(民心)이 같이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술을 뜻하는 주(酒)의 한자는 '같은 병 속에 있는 물'을 마시며 의기투합한다는 의미가 있고, 마을을 의미하는 동(洞)은 '같은 물을 마신다.'라는 뜻으로, 물을 통하여 동..